비밀번호를 잊어버리셨나요?
거울에서는 6월 2일 단신 뉴스로 전삼혜 작가님과 양원영 작가님의 "2018 서로 낭독 페스티벌" 대상 작품 선정과 예매 등에 관해 알려드린 바가 있습니다. (링크) 거울에 계셨던 김보영 작가님 포함해서 세 분의 작품이 6월 1일부터 16일까지 3주의 주말 동안 낭독극의 형태로 무대에 올랐습니다.
소설과 연극, 그것도 SF소설과 연극이 만난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그 오묘한 만남의 매력이란 게 무엇인지 듣기만 해서는 알 수 없었지만, 직접 공연을 한 번 보고, 후기들을 보면서 이 만남에 대해서 꼭 전해야겠다고 생각하여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낭독극의 원작을 쓰고, 공연을 보고, 공연 자리에서 관객과의 대화를 진행한 후 느낀 것들에 대해 세 작가가 직접 푼 이야기들을 들어 봅니다.

만나보니 별로 멀지 않았던

전삼혜

<누군가를 가장 민망하게 만드는 방법은 그 앞에서 그 사람의 소설/석사논문/박사논문/블로그 글을 소리내어 읽어주는 것이다> 라는 얘기가 있습니다. 대체로 맞다고 생각해요. 낭독이라는 것은 원작자에게 어디에 시선을 둬야 할지 모르게 하는 이상한 맛이 있습니다. 그래서 '낭독극 의뢰가 들어왔다'고 출판사에서 처음 전화가 왔을 때 -저는 2차저작권 관련을 대부분 출판사가 중재합니다- 제 반응이 "저요? 왜요? 어쩌다가요?" 였던 건 당연한 일일지도요. 전화를 받는 동안 조금씩 진정이 되었습니다. 아… 김보영 작가도요. 아… 양원영 작가도요. 아… 각색해서 극 형태로 한다고요. 아. 네. 음. SF와 사랑이라고요. 좋네요.

서촌낭독공간 서로에 그렇게 발을 들이게 되었습니다. 제가 첫 공연이었고 그 다음 주 김보영 작가의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 마지막 주가 양원영 작가의 <아빠의 우주여행> 이었어요. 60명이 들어가는 아주 작은 소극장에서 세 편의 공연을 봤습니다.

젊은 극단을 이끌고 있는 신인 연출가들의 공연이라고 하더군요. <소년소녀 진화론>은 강훈구 연출이 담당하여 무대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사실 제가 원작자인데도 아무런 사전 정보가 없어서 공연 30분 전에 연출가 분을 뵙게 되었습니다. 아직 20대에 연출이라니 대체 난 29살에 뭘 했던가! 아, 소설 쓰고 있었지… 그리고 편집부장님과 편집자님과 함께, 나란히 앉아서, 공연을 봤습니다.

우와, 이게 뭐야.
그런 느낌이었어요.
<소년소녀 진화론>은 바다와 하늘이 배경인데 무대 위에 하얗고 파랗고 투명한 공들이 굴러다니고 있었습니다. 2인극이었어요. 상상만 하던 등장인물들이 직접 눈앞에, 인간의 모습으로 튀어나온 걸 보고 있는 기분은… 예, 솔직히 처음에는 조금 민망했어요. 내, 내가 저런 걸 썼던가…? 싶은 마음이 반, 다른 사람 눈에는 이렇게 보이는구나 하는 마음이 반. 저는 소설을 쓸 때 등장인물간의 물리적 거리와 동선을 잘 생각하지 않는 편인데, 이게 실제 사람 둘이 움직이는 걸 보니 너무나도 서로 가까워서 엄청나게 로맨틱했습니다.

소년소녀_진화론_무대.JPG

작가와의 대담 때는 심완선 칼럼니스트께서 관객과 연출, 작가에게 골고루 마이크를 돌려 주셨습니다. 강훈구 연출은 '탱탱볼에 예산의 20%가 들었다'고 하시더라고요. 그 탱탱볼을 막공의 기념으로 하나씩 들고 가도 된다고 하셔서 저도 작은 탱탱볼을 하나 챙겨왔습니다.
저는 3회 중 마지막 공연만 봤는데, 첫날 공연을 보신 분이 전해주시기를 '전체적으로 조명을 어둡게 써서 배우들이 공에 미끄러지고 거울에 부딪치고 그랬다'고 하시더라고요. 조명이 어두운 것은 새벽, 하늘, 바다를 담기 위한 연출의도였다고 합니다.

소년소녀진화론1.jpg
소년소녀진화론2.jpg
소년소녀진화론3.jpg
소년소녀진화론4.jpg

저는 전반적으로 혼이 좀 빠져나간 상태였어요. 내가 이렇게 로맨틱한 걸 썼다니! 내 등장인물이 움직이고 있어! 여긴 어디죠! 저는 누구죠!
그래도 이때 만땅으로 긴장을 한 덕분에 그 다음 공연들은 차분하게 볼 수 있었…으면 참 좋았을 것을…

두번째 주,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의 공연날이었습니다. 이 소설은 프로포즈 소설이자 낭독용으로 만들어진 소설이라 더 기대가 컸어요. 작가와의 대화 시간에는 이야기의 주인공이 된 부부 중 한 분이 같이 자리에 올랐습니다. 아직 아이가 공연을 볼 나이가 안 되어서 부부 중 한 명이 아이를 보고 한 명만 공연을 보기로 했어요. 저도 두근두근 마음을 안고 공연을 봤습니다. 그야 그렇잖아요. 이건 정말 대놓고 로맨스라구요!
현예솔 연출은 책 자체를 대본으로 썼습니다. 편집한다기보단 중간의 몇 대목을 빼고 전문을 그대로 낭독하는 형식의 1인극이었어요. '책 자체가 소품의 역할을 한다'는 말대로 배우가 책을 손에 들고 읽고, 앉고, 구르며(…) 주인공이 되어 편지를 읽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만나는가 싶으면 멀어지고, 더 멀어지고, 더 더 더 멀어지다가 마지막에 한번 희망을 주는 이야기라 화면에 '지구 시간으로 n년 후'가 지나갈 때마다 객석에서 한숨이 들렸습니다. 아이고…
그리고 결말 부분에서 저와 작가와 주인공 부부(아내분)가 모두 울었다고 합니다. 한 사람의 발성, 한 사람의 연기가 사람들을 몇백 년동안 끌고 가는 느낌이 참 애잔했어요. 그리고 저는 결국 김보영 작가께 물었습니다.
"우리 주인공한테 굉장히… 못된 짓을 한 것 같지 않아요?"
글로 굴릴 때는 아무런 죄책감이 느껴지지 않았는데, 배우분이 상황을 연기하시는 걸 보니… 아이고, 죄송합니다. 배우분에게 엎드려 절이라도 하고 싶은 심정이었어요. 그렇게 두 주가 지났습니다.

마지막 주는 좀 특이했어요. <아빠의 우주여행>과 <인생>을 한데 묶어 극으로 만들었거든요. 장효정 연출은 평소에도 SF에 관심이 있으신 듯 했습니다. 가장 많은 인물이 출연해서 자리에 앉아 이야기하는, 어떻게 보면 가장 낭독극의 형식에 충실한 공연이었어요. '낭독'보다는 '극' 성격이 좀 더 강했지만요. 양원영 작가는 퇴고하면서 글을 소리내어 읽어본다고 하셨는데 그 영향인지 대사가 찰지고 좋았습니다. 배우들 입에 짝짝 붙더라고요. <키우는>로봇. 부모가 키우는 로봇이 있고 부모가 되어 아이를 키우는 로봇이 있는 두 세계가 원래부터 한 몸인 것처럼 녹아들었습니다.
우주선을 쏘아 올리는 장면을 한 뼘 크기 레고로 연출했던 게 기억에 남아요. 아, 이게 연극이었지- 하는 느낌이었습니다. 아빠와 딸, 딸의 친구, 딸의 친구의 어머니. '안드로이드여도 괜찮아'라는 작가의 작품집 제목처럼 '무엇이어도 괜찮아' 라고 따뜻한 마음을 전해주는 예쁜 공연이었어요. 좀 반성했습니다. 나도 등장인물에게 착하게 굴어야 하는데…
작가와의 대화 때 '안드로이드인데 이렇게 좀… 모자란 로봇이어도 되는 건가요?' 라는 질문을 했더니 양원영 작가는 '그런 로봇을 원했기 때문에 그렇게 (모자란 듯한) 로봇이 보이게 된 것' 이라는 대답을 하셨습니다. 순간 소름이 돋더라고요. 내가 모자라 보이는 것은 너희가 그걸 바랐기 때문이다, 라뇨. 음. 저는 앞으로 양원영 작가의 로봇 이야기들을 보면 좀 무서울 것 같습니다. ('신의 별'도 사실 엄청 무서운 이야기였는데요.)

가장 각색이 많이 된 것은 <아빠의 우주여행>이고 가장 원본에 가깝게 접근한 건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 였습니다. 특히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는 책을 대본으로 쓰고 배우도 한 명, 소도구가 의자 하나, 프로젝터 하나로 간편한 구성이어서 '또 하고 싶다'고 배우 측에서도 말을 꺼냈어요.

총연출도 '이번엔 시험삼아 했지만 SF 낭독극을 더 적극적으로 하고 싶다' 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사실 연극과 SF는 아주 멀리 떨어져 있다고 생각했어요. 연극은 사회의 현실을 비틀어 보여주는 것에 사용되는 장치이고 SF는 먼 곳을 향하니까요. 하지만 카렐 차페크의 <로봇>도 희곡이었지요. 서로 합쳐지는 것이 불가능해 보이는 두 영역이 섞이는 건 어쩌면 한순간일지도 모르겠어요.

한 작품의 원저자로, 두 작품의 팬으로 즐거웠던 시간입니다. SF라는 시간-공간적 장치가 어떻게 '연극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지를 눈으로 보는 경험은 이번 상반기의 좋은 기억으로 남을 거예요.

연출자 강훈구 님의 인터뷰

댓글 0